본문 바로가기
기타 건강 이슈/불안장애. 우울증

사회생활 중 느끼는 불안, 그냥 성격 탓이 아닙니다

by 이유5874 2025. 6. 15.
반응형

“내가 너무 예민한 걸까…”
“성격이 소심해서 그런가 봐요.”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사소한 말에도 신경이 쓰이고,
사람들 앞에 서는 일이 부담스럽고,
회의 후엔 ‘괜히 이상하게 보인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을 때가 있어요.

많은 분들이 이런 불안을
자신의 성격 탓으로만 여기며 넘기곤 합니다.

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것,
오늘 글에서 이야기해드릴게요.
사회생활 속 불안은
단순히 성격 문제가 아니라
누구나 겪을 수 있는 마음의 반응이랍니다.

 

“소심해서 그래요”는 진짜일까?

사람들은 불안을 느낄 때 종종 이렇게 말합니다:
“제가 좀 내성적인 편이라…”, “원래 말수가 적어서요…”

이런 말은 겸손이나 배려에서 나올 수도 있지만,
사실은 자신의 불안함을 성격으로 포장하는 방식일 수 있어요.

실제로 사회불안장애(Social Anxiety Disorder)는
‘성격 문제’가 아니라
뇌의 과민한 위협 감지 시스템에서 비롯된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회적 상황에서 편도체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자신이 ‘지켜보이고 있다’는 감각이 과장되어
더 긴장하고, 말을 실수할까봐 두려워지게 되는 거예요.

 

사교적인 사람도 불안을 느낄 수 있어요

사람들은 종종 착각합니다.
“저 사람은 외향적이니까 불안하지 않겠지.”

하지만 외향성과 불안은 전혀 다른 차원의 이야기예요.
불안은 사람의 기질이나 사교성보다
‘내면에서 일어나는 감정 반응’
과 관련이 깊습니다.

외향적인 사람도 발표 전에 잠 못 자거나,
낯선 사람과 대화할 때 불편함을 느낄 수 있어요.

중요한 건 ‘보이는 모습’이 아니라,
내가 그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입니다.

 

사회적 불안을 줄이기 위한 3가지 실천 팁

① “지켜보고 있다”는 착각을 줄이기
→ 뇌는 자신이 실수할까 봐 두려워할 때
타인의 시선이 더 강하게 느껴지게 만들어요.
하지만 실제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일에 더 집중하고 있다는 사실을 자주 상기해보세요.

② 말실수를 해도 괜찮다는 ‘허용 연습’
→ 불안한 사람은 말실수나 표정 하나에
자신을 너무 가혹하게 평가하곤 합니다.
그럴 때마다 “그래, 그럴 수도 있지”라는
자기 허용 문장을 미리 준비해두면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③ 불안을 느낀 뒤, 자신을 칭찬하기
→ 회의에 참여했다면
“그래도 끝까지 자리에 있었잖아”
사람 앞에서 발표했다면
“용기 냈던 나, 정말 잘했어”
작은 행동에도 스스로를 인정해주는 습관
불안 회복에 큰 힘이 됩니다.

 

마무리하며: 당신의 불안은 결코 약함이 아닙니다

사회생활 중 느끼는 불안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감정이에요.

그걸 성격 탓으로 돌리며
자신을 작게 만들 필요는 없습니다.

지금까지 잘 버텨온 것만으로도
당신은 충분히 강한 사람입니다.

오늘 이 글이
조금이라도 당신의 마음을 가볍게 해주었다면,
아래 추천글도 꼭 확인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