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은 독이라던데…” 걱정되시죠? 부작용 줄이는 약 복용법 알려드릴게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에서 약물은 필수입니다.
하지만 정작 약을 처방받고 나면
“부작용은 없을까?”, “간에 무리는 안 가나?”
이런 걱정부터 앞서게 되죠.
실제로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약은
면역 억제제나 항염제 등 강력한 약물이 많아서
부작용이 생길 수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약을 끊거나 두려워할 필요는 없어요.
복용법만 잘 지켜도 부작용 위험을 훨씬 줄일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류마티스 약물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7가지 복용 팁을 알려드릴게요.
💊 류마티스 약물, 어떤 종류가 있을까?
치료에 사용되는 대표 약물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 DMARDs(질병조절항류마티스제): 메토트렉세이트, 설파살라진 등
- 💊 NSAIDs(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나프록센, 이부프로펜 등
- 🌀 스테로이드: 프레드니솔론 등 염증 억제용
- 💉 생물학적 제제: 휴미라, 엔브렐 등 고가의 정밀 치료제
이 약들은 관절염의 진행을 늦추고
통증과 염증을 조절해주는 핵심 치료 도구입니다.
하지만 작용이 강한 만큼, 복용 습관에 따라 몸에 부담을 줄 수도 있어요.
✅ 부작용 줄이는 복용법 팁 7가지
1️⃣ 식사와 함께 복용하기 (NSAIDs)
→ 위장 장애를 줄이기 위해 반드시 식후 복용하세요.
→ 공복에 복용하면 위염, 속쓰림 위험이 높아집니다.
2️⃣ 주 1회 복용 약은 요일을 정해두기 (메토트렉세이트)
→ 매주 같은 요일, 같은 시간에 복용해야 효과 유지가 됩니다.
→ 매일 복용하면 독성 위험이 커지므로 주의!
3️⃣ 엽산 보충제를 꼭 함께 복용하기
→ 메토트렉세이트 복용자는 엽산 부족으로 구내염, 탈모 발생 가능
→ 의사가 권장한 용량대로 엽산을 챙기세요.
4️⃣ 자의로 약을 끊지 않기
→ 증상이 나아졌다고 임의로 중단하면 염증이 더 악화될 수 있어요.
→ 중단은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 후 결정하세요.
5️⃣ 간, 신장 기능 정기 검사 받기
→ 장기 복용 시 간독성, 신기능 저하 가능성 있습니다.
→ 정기적인 혈액검사로 내 몸 상태를 꼭 확인하세요.
6️⃣ 금주, 금연하기
→ 술은 간에 부담을 더하고, 약효에도 영향을 줍니다.
→ 특히 메토트렉세이트 복용 중에는 절대 금주 권장!
7️⃣ 복용 시간대 통일하기
→ 같은 시간대 복용은 혈중 농도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 알람 설정해두면 잊지 않고 챙기기 쉬워요.
💡 의사와의 소통이 최고의 예방법입니다
약물 복용 중에 이상 반응이 느껴진다면
혼자 고민하지 말고 바로 병원에 이야기하세요.
예를 들어
✔️ 구토나 메스꺼움
✔️ 피로감이 심하거나 입안이 헐었을 때
✔️ 피부에 발진이 생겼거나 탈모가 느껴질 때
이런 증상은 흔하지만 조정 가능한 부작용이에요.
복용 용량 조절이나 약물 변경으로 해결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내게 맞는 방법을 찾으면 약은 ‘독’이 아니라 ‘도움’이 됩니다
약이 무서워서 피하거나 중단하는 것은
류마티스를 더 악화시키는 지름길일 수 있어요.
하지만 오늘 알려드린 팁을 잘 기억하고,
나에게 맞는 복용 습관을 만든다면
치료 효과는 높이고, 부작용은 줄일 수 있습니다.
꾸준함이 관절을 살리고,
올바른 약 복용이 당신의 삶을 지켜줄 거예요.
👇 관련된 내용을 좀 더 알고 싶으면 카테고리의 다른글도 함께 읽어 보세요.
'통증 및 근골격계 > 류마티스관절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류마티스 관절염 자가면역질환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1) | 2025.07.19 |
---|---|
단순 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 차이점이 이렇게 다릅니다 (1) | 2025.07.19 |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을 위한 혈액검사, 무엇이 중요한가 (1) | 2025.07.18 |
관절 붓고 열 나는 증상, 류마티스 관절염 가능성은? (0) | 2025.07.18 |
류마티스 관절염과 헷갈리는 질환들, 증상별 비교 정리 (0) | 2025.07.18 |